홍조증 경험, 만성질환 치료약 복용 등 취약집단의 위험 음주는 지속

▲ 질병관리본부(사진=PEDIEN)

[경기&뉴스] 질병관리청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해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음주 심층보고서’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본 보고서는 올해 진행한 정책연구용역의 결과를 요약했으며 주요 내용으로 만19세 이상 성인의 음주행태에 대한 최근 10년 간 추이 변화, 취약집단의 음주행태 및 관련 요인 등의 분석 결과를 수록했다.

우리나라 성인의 음주행태는 최근 10년 간 큰 변화는 없었으며 전반적으로 남자는 감소하고 여자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남자가 여자보다 여전히 음주율이 높았고 연령별로는 남자 40-50대, 여자 20-3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표별 추이 변화를 보면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은 남자는 감소한 반면 여자는 증가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남자 40-50대, 여자 20-30대에서 높았다.

연간음주자의 월간폭음률의 경우 남자는 유의하게 감소했으나 여자는 큰 변화가 없었고 남자는 40-50대, 여자는 20-30대에서 높았다.

연간음주자의 지속적 위험음주율도 남자는 10%, 여자는 3% 내외로 연도별 증감을 반복하고 있으며 남자의 경우 50-60대, 여자는 30대에서 가장 높았다.

담배 및 주류 둘 다 사용자 비율은 최근 10년 간 감소 추세이나, 담배 및 주류 둘 다 고위험사용자의 경우 최근 10년 간 큰 변화 없이 남자 10명 중 1명으로 나타났다.

소량의 음주로 금세 얼굴이 빨개지는 알코올 홍조증을 경험한 사람은 10명 중 4명이었다.

그 중 고위험음주를 하는 경우는 남자 14.0%, 여자 4.3%로 남자가 여자보다 3배 정도 더 높았다.

만성질환 치료약 복용자의 고위험음주율도 남자 20.4%, 여자 9.0%로 남자에서 높았다.

음주행태 관련 요인으로는 성, 연령, 건강행동 실천 등이었다.

여자보다 남자, 70대 이상에 비해 낮은 연령에서 음주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또한 건강행동 실천 점수가 낮을수록 음주할 위험이 더 높게 나타났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성인 음주행태 심층분석 결과, 최근 10년 간 남자가 여자보다 여전히 높은 음주율을 보이나 남자는 감소, 여자는 증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남자 40-50대, 여자 20-30대에서 높았다.

또한 담배와 주류 둘 다 사용자, 홍조증 경험자, 만성질환 치료약 복용자 등 취약집단에서 위험 음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심층분석 연구를 수행한 김광기 교수는 “우리나라는 음주에 관대한 문화적 특성이 있으며 특히 20-30대 여자 음주율이 높은 것은 도수가 낮은 술이나 과실주 등 주류상품 개발로 접근성이 높아지고 음주에 대한 사회·문화적 수용성도 높아진 영향으로 보여진다”고 전했다.

“주류 소비 및 음주폐해 감소를 위해서는 대국민 음주가이드라인 개발, 음주 경고문구 강화와 주류광고 및 마케팅 규제, 장소·시간적 음주 제한 등 주류이용가능성 제한 정책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음주 취약집단 대상으로 상담 및 교육 등 보건의료서비스 강화와 개인이 음주 위험성을 인지하고 자율적인 의사결정 능력을 갖추는 등 음주 건강 문해력 향상을 위한 교육·홍보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음주는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음주행태 개선을 위해서는 개인뿐만 아니라 음주조장 환경을 개선하는 사회 전반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우리 청은 음주행태 감시와 근거 강화를 위한 국가건강조사를 지속하고 음주조장 환경 개선과 취약집단별 맞춤형 예방 정책 지원 등 음주폐해 감소 및 국민 건강증진을 위해 관계부처 간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간된 심층보고서는 국가건강조사 분석보고서인 ‘국민건강통계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활용 가능하다.

저작권자 © 경기&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