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평균 연봉 5220만원 대기업 90%

‘박봉’ 수준이었던 공무원의 평균 연봉이 5000만원을 넘어 고액 연봉자의 대열에 합류했다.

안전행정부는 공무원의 월평균 기준소득액이 435만원이라고 지난 28일 공표한 금액이다.

공무원 기준소득 월액은 초과근무수당 등을 모두 합한 연봉을 100만명 안팎의 전체 공무원 숫자로 나눈 것이다.

2011년 395만원, 2012년 415만원이던 기준소득 월액이 올해 435만원으로 증가하면서 공무원 1인당 평균 연봉은 5220만원인 것이다.

공무원 연봉과 일반 사업장의 연봉을 비교해 보면 그 수준을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다. 고용노동부는 올해 1월 기준 5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 평균 월급은 316만8000원(연봉 3800만원 이상)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4분기 기준 2인 이상 전체 근로자가구의 평균 연봉은 4725만원(월급 393만원)이었다.


올 1월 기준 종업원 수 300인 이상 기업의 직원 평균 연봉은 5860만원(월급 488만원)이다. 지난해 예산 기준 271개 공공기관의 직원 평균 연봉은 5900여만원(월급 493만원)이다. 고연봉군에 속하는 대기업·공공기관과 비교했을 때 연봉의 90% 수준이다.

공무원노조는 내년 공무원 임금 9.6% 인상안을 기획재정부에 제출했다. 이는 올해 예상되는 물가인상률 2.5%와 경제성장률 2.8%, 민간보수 격차해소 정책조정률 4.3%를 모두 더한 것이다. 정부가 이를 승인한다고 가정할 때 공무원의 내년 평균 연봉은 5500만원을 넘는다.

과연 우리 국민이 체감하는 행정서비스의 질을 거액의 연봉만큼 만족도를 느씨고 있는지 의문이다.

정년, 구조조정, 연금, 자녀학자금, 정시근무 등 공무원이 누리는 환경은 사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다.

하지만 폐쇄적 구조와 같이 그만큼 개혁적이거나 미래지향적이지 않다는 것이 국민들의 시각중 하나다. 주민들은 상대적으로 공직에 거는 기대감은 더 없이 크다는 것을 공직사회는 깊이 인식해야 한다.

최근 일선 세무서장의 비리를 비롯 수십억을 넘는 공무원들의 비리 소식은 끊이질 않고 있다. 새로운 정부가 시작 될 때 마다 부는 사정의 칼바람의 이유만 생각해보면 알수 있다.

공무원의 연봉은 국민들의 행정서비스 만족도와 반드시 비례해야 한다는 것이 대다수 국민들의 마음이라는 것을 모두가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기&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